회원가입
|
ID/비밀번호 찾기
검색결과
Home > 검색결과
‘보험업법’
에 대한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총
17
건의 결과가 검색되었습니다.
|
검색결과 :
10
건
박관양
[온라인] 2021 보험업법
수강료 :
120,000 원
45일
강좌
교재
KFIA
[온라인 패키지] 2021 손해사정이론(배민영) / 보험업법(박관양)
수강료 :
270,000
→
216,000 원
90일
강좌
교재
KFIA
[온라인 패키지] 2021 보험계약법(김석기) / 보험업법(박관양)
수강료 :
320,000
→
256,000 원
90일
강좌
교재
KFIA
[온라인 패키지] 21손해사정이론(배민영) / 21보험계약법(김석기) / 21보험업법(박관양)
수강료 :
470,000
→
329,000 원
120일
강좌
교재
김석기
[온라인] 2020 보험업법 핵심정리
수강료 :
30,000 원
30일
-
강좌
|
검색결과 :
2
건
[손해사정사]
[2021] 보험업법
20,000원
0원
0
상품평
0건
[손해사정사]
[2019] 보험업법
20,000원
0원
0
상품평
0건
|
검색결과 :
5
건
[손사게시판]
|
조영삼교수님 보험업법 질문 있습니다~
|
2019-03-19
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입법 기본이론반 수강후 현재 문제풀이반 수강중에 있습니다 사소한 부분이기는 하지만..기본이론반때 배웠던 부분과 상이한 내용이 있어 고민하다가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보험업법 연혁에 있어서 보험업법, 보험모집단속법, 외국보험사업자에 관한법률은 기본이론 교재에도 62년으로 나와있는데... 문제풀이반때는 61년으로 말씀해주셔서요~ 어떤것이 맞는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1회 모의고사 14번 보험업겸영의 예외지문 “라”번 설명해주실때 저축성상품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기본이론반때는 같은내용을 보장성상품으로 배웠던 것 같아서요...ㅜ 마지막으로 1회 모의고사 40번 정답을 판서에는 2번이라고 적어주셨는데 풀이해주실때는 1번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해주신거 같아 2번인지 1번인지 궁금합니다....
[손사게시판]
|
보험업법 7강 자료 다운로드?
|
2019-06-30
보험업법 7강에서 제공하시는 모집종사자등 결격사유 비교표는 어디에서 받을 수 있나요?
[손사게시판]
|
보험업법 마지막 강의 자료?
|
2019-07-09
보험업법 17강에서 나눠주신 자료(요약자료)는 어디에서 받을 수 있나요?
[공지사항]
|
강의계획서 - 보험업법
|
2020-10-20
강사이력서 및 강의계획서 ▣ 강사이력 박관양 손해사정사 주요 약력 유한대학교 졸업 서울사이버대학교(금융보험학과) 국민대학교 법무대학원 손해사정학과 석사과정 신체손해사정사 도로교통감정사 병원행정관리직 25년 근무중 인천 병원행정사관리자협회 보험이사 ▣ 강의계획서 1. 보험업법의 특성 보험업법 과목은 쉽고 편하게 공부를 하실 수 있습니다. 공.사 혼합법으로 민법과 상법의 내용과 관련된 부분도 많고 아주 재미있는 과목입니다. 하지만 출재 경향이 과거 단답형에서 서술형으로 많은 부분이 바뀌었고 단순 암기보단 이해를 필요로 하는 문제들이 출제 되고 있습니다. 43회 시험에도 많은 서술형문제가 나왔지만 저와 함께 공부하신 수험생들은 문안하게 고득점을 맞았습니다, 그 이유는 제가 강의를 할 때 이해 중심으로 강의를 해왔고 수험생들과 잘 따라와 주셨기 때문입니다. 44회 손해사정사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은 매우 유리한 부분이 있습니다. 2020년에 보험 업법이 많은 개정이 있었습니다. 즉 개정된 부분만 공부하셔도 고득점을 맞을 수 있습니다. 개정된 내용은 어렵지는 않지만 공부를 안하시면 틀리 수 있는 내용이 많아 저와 함께 공부를 하신다면 좋은 결과가 나오실 것 같습니다. 저는 기본적인 내용를 강의하면서 개정된 내용과 비교하며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2. 2020년 개정된 내용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현행법상 외화자산에 대한 직접 한도규제로 인해 보험회사의 해외 투자 시 애로가 발생하고 있는바, 해외자산에 대한 자산운용 비율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실제 보험소비자는 보험권유단계에서 제공되는 보험상품의 안내자료에 따라 가입 여부를 결정하므로 금융위원회의 이해도 평가 대상에 보험안내자료도 포함함으로써 보험안내자료가 소비자가 알기 쉽게 작성되도록 하는 한편, 금리인하요구권을 알리지 아니한 경우 「상호저축은행법」, 「여신전문금융업법」과 달리 보험회사의 임원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으므로 금리인하 요구권을 알리지 아니한 경우 보험회사를 대상으로 2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하려는 것임. 보험 모집과 과징금 부분이 개정이 많았고 더 자세한 것은 본 강에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공부하는 방법은 많습니다.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제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와 함께 공부하시면 보험업법이 효자 과목이 될 것입니다.
[강좌 > 자료실]
|
2019 보험업법 모의고사 1-4
|
2019-03-25
보험업법 모의고사
검색결과
| 상호명 : 한국금융보험교육원 | 대표 : 배민영 | 사업자등록번호 : 148-87-01578 | 주소 : 서울 금천구 디지털로9길 47 한신아이티타워2차 205호
| 통신판매업 등록 : 제2019-서울금천-1520호 | 원격평생교육시설 신고 제666호 | 정보보호책임자 : 김현우 실장 | 대표전화 : 02-862-1231 | 팩스 : 02-848-4972
| 이메일: kfia2016@daum.net